현실세계에서 독립적으로 식별 가능한 객체나 사물을 나타낸다.
행이 2개 이상 될 수 있어야 엔터티로 뺀다.



엔터티의 분류
1) 유형과 무형에 따른 분류
- 유형엔터티
- 물리적 형태가 있음(실체가 있는 대상)
-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엔터티
- 업무로부터 구분하기가 가장 용이한 엔터티
ex) 사원, 물품, 감사 등
- 개념엔터티
- 물리적인 형태 없음
- 관리해야 할 개념적 정보로부터 구분되는 엔터티
ex) 조직, 보험 상품 등
- 사건 엔터티
-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엔터티
- 발생량이 많고 각종 통계자료에 이용
ex) 주문, 청구, 미납 등
2) 발생 시점에 따른 분류
- 기본엔터티
- 그 업무에 원래 존재하는 정보
- 다른 엔터티와 관계에 의해 생성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성
- 타 엔터티의 부모 역할을 하는 엔터티
- 다른 엔터티로부터 주식별자를 상속받지 않고 자신의 고유한 주식별자를 가짐
ex) 사원, 부서, 고객, 상품 등
- 중심엔터티
- 기본엔터티로부터 발생되고 그 업무에서 중심적인 역할
- 많은 데이터가 발생되고 다른 엔터티와의 관계를 통해 많은 행위 엔터티를 생성
ex) 계약, 사고, 청구, 주문, 매출 등
- 행위엔터티 (다대다 관계에서 나오는 엔터티)
- 2개 이상의 부모엔터티로부터 발생
- 자주 내용이 바뀌거나 데이터 양이 증가
- 분석 초기 단계보다는 상세 설계 단계나 프로세스와 상관모델링을 진행하면서 도출
ex) 주문(고객과 상품 엔터티로 부터 발생하므로 행위엔터티이기도 함), 사원변경이력, 이력 등
주문은 중심엔터티이자 행위엔터티다.
엔터티의 명명
- 현업에서 사용하는 용어 사용
- 가능하면 약자 사용은 자제
- 단수 명사 사용
- 모든 엔터티에서 유일하게 이름 부여(이름이 중복되면 안 된다.)
- 엔터티 생성 의미대로 이름 부여
엔터티와 인스턴스 표기법
- 엔터티는 사각형으로 표현, 속성은 조금씩 다름


IE 표기법과 Baker 표기법으로 ERD를 표현한다.
IE 표기법은 엔터티 이름이 위에 올라가게 되고 맨 윗부분에 주식별자가 들어가게 되며 그 밑에는 일반 속성들이 나열된다.
Baker 표기법 같은 경우에는 네모 박스 안에 엔터티 이름이 들어가고 그 내부에 #으로 주식별자(pk)를 표현한다. 나머지 속성들은 밑에 나열되는데 null 허용 여부에 따라 O, *로 구분된다.
Share articl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