터미널 git bash로 설정


git bash 코드

- ls: list의 약자로 디렉토리된 파일을 보여준다는 뜻이다.
- 리녹스 언어로 ls 했을 때 파일 중에 이름 맨 앞에 . 이 있으면 숨긴 파일을 뜻한다.

- d: 디렉토리 폴더를 뜻함.
- - : 파일을 뜻한다.

- path설정이 돼 있는 상태
형상 관리
레파지토리 하나 만들기



이거 제일 먼저 해야지 git이랑 컴퓨터랑 연결됨
맨첨에 프로그램 연결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yeeun0118s@naver.com"사용자 등록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yeeun0118s"

- 처음에 저장 한 거 외에 수정 저장 할 때는 (git add .) , (git commit -m) “저장할 이름”순으로 진행
- git 형상 관리할 파일은 각자 다르게 만들기(하위 폴더로 관리 하지 않기(불가능))
git init
git remote add origin (레파지토리 복사한거 붙이기) - 깃이랑 연결
git add .
git commit -m
git push origin master
git remote rm origin # 원격지 주소 삭제
git remote -v # 원격지 주소 조회
git remote add origin [GIT 주소] # 원격지 연결
git branch -d "q브랜치 삭제
rm -r (--recursive)
rm -rf .git

- git init : 터미널을 처음 실행 했을 때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선언이다.
- git add . : 데이터를 캡쳐 해서 저장 할 때 사용하는 코드
- git commit -m : 저장 할 데이터의 이름을 정하는 코드
- git push orign master : commit한 데이터를 cloud의 저장 할 때 사용하는 코드.
디렉토리 패키지 만들기

Share articl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