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AWS(Amazon Web Services)
- 아마존닷컴에서 운영하는 Cloud Computing Platform
- 클라우드 컴퓨팅
IT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(On-Demand)로 제공,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
온디맨드 서비스 : 우리말로 주문형 서비스
고객의 요구가 있을 때 언제 어디서나 고객 중심에서 니즈를 해결해 주는 것
- 기업이나 개발자들이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축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데 사용
- 다양한 서비스와 도구를 제공하여 컴퓨팅 리소스, 스토리지, 데이터베이스, 네트워킹, 머신 러닝, 개발 도구, 보안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
2. 종류
1) IaaS(Infrastructure as a Service)
- 물리적인 형태로 사용해 왔던 스토리지, 서버 등의 인프라를
가상화된 환경에서 쉽고 신속하게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
하드웨어만 제공, 운영체제부터 애플리케이션 스택까지 모든 것을 직접 설정해야 함
→ 인프라를 직접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
2) PaaS(Platform as a Service)
-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, 서비스하기 위해
사용가능한 서비스(윈도우,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)와 기능(개발 환경도 플랫폼)들이
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
운영 체제, 개발 도구,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등이 포함
→ 개발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
3) SaaS(Software as a Service)
- 클라우드 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을 서비스 형태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
일반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형태
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만 제공받으며, 인프라나 플랫폼에 대한 걱정이 없음
→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시작하고 유지 보수를 간소화하고자 할 때 유용
Ex) 구글 스프레드 시트

3. AWS 탄생 배경
- 1994년에 제프 베조스(Jeff Bezos)에 의해 설립
- 처음 : 온라인 서점으로 시작하여 책을 판매하는 웹사이트로 출발
- 이후 : 책 이외의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종합 쇼핑몰로 확장
→ 온라인 상거래의 주요 기업 중 하나로 성장
- 블랙 프라이데이와 같은 대규모 이벤트 시기
서버 트래픽이 급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
이에 대비하기 위해 아마존은 자사의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향상시켜왔음
이러한 환경을 외부에 제공하는 것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의 시초
- 클라우드 컴퓨팅
- 남는 서버 및 인프라를 외부에 제공하여
다른 기업이나 개인이 필요에 따라 서버 및 컴퓨팅 리소스를 빌려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개념
- 기업들이 대규모 이벤트 시기와 같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응하고
유연하게 서버 리소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줌
-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AWS(Amazon Web Services)로 브랜딩하여 제공
4. 전산실 구축 시 고려할 점
- 물리적 공간과 건물
적절한 토지와 건물을 확보하여 전산실을 구축
- 하드웨어 장비
서버, 네트워크 장비, 보안 시스템 등의 하드웨어를 선택하고 구매
- 웹 서버 :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,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서버
- 침입 방지/차단 시스템 : 네트워크상에서의 침입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시스템
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고 침입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역할
- 로드 밸런서 : 서버에 가해지는 트래픽을 여러 대의 서버로 분산,
부하를 균형있게 분담하는 장비 → 서버의 가용성과 성능을 향상
- 각종 네트워크 장비 : 라우터, 스위치, 방화벽 등
- 에어컨 및 전기 시설
온도와 전력을 유지하기 위한 에어컨 및 전기 시설을 설치
- 반도체는 열에 민감하기 때문에 온도 유지를 위한 에어컨이 필요합니다.
- 서버는 종료되지 않고 운영되기 때문에 많은 전기 에너지가 필요합니다.
- 케이블 관리
복잡한 케이블을 정리하고 관리하여 청결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
- 소방 시설
전산실에 대비하여 소방 시설을 갖추고 서버 이중화 등의 대비책을 마
- 보안
물리적 보안 시설을 구축하여 전산실을 24시간 보호
CCTV, 출입통제 시스템 등을 설치하여 보안을 강화
Share articl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