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JDBC
java를 통해서 dbms에 접근하기
라이브러리 다운 받아서 자바에 설치하기

라이브러리를 자바에서 다운받아서 쓰려면 저렇게 설정해서 프로젝트를 만들어야된다.

제조사에 맞는 프로토콜을 받기 위해 maria db를 받아야됨



인코딩
utf8
은 1~3바이트의 가변 바이트 체제다.(한글 3바이트 영어 1바이트)
utf8mb4
는 이모지 까지 되는 utf8인데,DB에서만 쓰는 인코딩 체제다.
timestamp(DB칼럼, DB명령어)
저장 할 수 있는 날짜 지원 범위는 1970부터 된다. 그 이유는 표준시(세계 협정 시(UTC))가 1970년도에 정해 졌기 때문이다.
테스트 코드 작성할 때는 _Test를 붙이는게 컨벤션이다.

독립적으로 메소드를 실행 시킬 수 있는 라이브러리
마리아 db 프로토콜명

쏘켓을 만들면 버퍼를 만들어야되는데 라이브러리가 이 역할을 해준다.
db에서 now는 현재시간 넣을 때 사용하는 문법.



update
하기전-자바에서 update문 실행-툴에서 확인하기



delete
하기전-자바에서 delete문 실행-heidsql에서 확인하기



마리아DB에서 INSERT 문을 실행할 때 반환값으로 -1, 0, 1, 2가 나올 수 있습니다. 이들 값은 INSERT 문의 실행 결과를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:
- 1: INSERT 실패
- INSERT 문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냅니다. 이는 주로 데이터베이스 제약 조건에 위배되는 경우나, 데이터베이스 서버 오류 등의 문제로 인해 INSERT 작업이 중단되었음을 의미합니다.
- 0: 영향을 받은 행이 없음
- INSERT 문이 실행되었지만, 영향을 받은 행이 없음을 나타냅니다. 이는 주로 INSERT 문에 전달된 데이터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나, 조건에 맞지 않아서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입니다.
- 1: 성공적으로 1개의 행이 삽입됨
- INSERT 문이 성공적으로 실행되어 1개의 행이 삽입되었음을 나타냅니다.
- 2: 성공적으로 여러 행이 삽입됨
- INSERT 문이 성공적으로 실행되어 여러 개의 행이 삽입되었음을 나타냅니다. 이는 주로 INSERT 문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 번에 삽입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이러한 반환값은 INSERT 문의 실행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, 프로그래밍 언어나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 따라서,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에서 반환 값을 확인하고 이를 적절히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브라우저가 dbms에 접근하는 접근 방식
브라우저가 dbms에 직접 접근 못한다.
무조건 브라우저가 툴(언어)를 통해서 dbms에 접근해야된다.
이 툴을 미들웨어라고 명칭한다.
ex) 브라우저(html) - java - dbms
Share articl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