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(sessionUser 이름의 user 객체를 저장했다.)
3.jsession의 여행
클라이언트가 request 요청을 하면 서버는 특정 조건에 따라 jsession 영역을 만든다.
서버가 response 응답을 할 때 response header에
클라이언트(브라우저)는 set-cookie의 값을 브라우저의 쿠키 저장소에 저장한다.
클라이언트가 다시 request 요청을 하게 되면 request hader에 cookie 키 값에 jsessoin을 담아서 요청
서버는 jsession을 확인해서 아까 왔던 사람인지 체크만한다. (state ful)
stateful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서버측에 저장하는 것 을 의미한다.
request를 유지하는겄도 stateful의 하나의 종류인데 이렇게 안하는건 메모리 아
끼려고 하는거다.
4.로그아웃 로직 구현


@GetMapping("/logout")
public String logout() {
session.invalidate();
return "redirect:/";
}

톰켓의 스코프(생명주기)
-세션(request (응답후 날라감)
결론: 생명주기 긴 순서
request < session <application
Share article